카오스 이론을 잘 설명하는 한마디 말이 있다.

북경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 거대한 허리케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운드 오브 썬더는.. 위의 말에 모티브를 얻어서 만들어진 영화임에 틀림없다..

초반의 공룡 등장씬은 너무 조잡해서.. 왠지 과거의 우뢰매를 보는 듯한 실망감을 주지만..
그래도.. 전반적인 구성이나 스토리는 나쁘지 않다.


꽤나 볼많나 영화임엔 틀림 없지만..나는 졸면서 봐야 했다..
너무 전개가 뻔했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결국 성공을 했을까?

암튼... 영화가 근간을 두는 전제에 따라 조금 달라지겠지만..
시간이 하나이 연속된 필름같은게 아니라..
병렬식으로 놓여진..그때 그때의 결정에 따라 새롭게 생겨나는 마치 책의 책페이지 같은 시간개념이라고 한다면..

이 영화에서 주인공이 해내거나 하지 못하거나.. 결국 그는 다른 시간대의 그를 위해서 뼈빠지게 노력한 것에 지나지 않는 셈이 된다.

이 개념은 드라곤볼에서 보여주는 시간의 개념인데..
미래에서온 트랑크스?는  손오공을 돕지만.. 결국 그가 온시간대에서는 변화가 없다..
..
 
킬링 타임용으로 볼만한 영화다.. 두번 볼 필요는 전혀 없는 영화
Posted by 돈오돈오
,

'인간이 평생 20%의 뇌만을 사용한다' 는 이야기는 솔직히 당황스런 이야기긴 하다.

하지만... 이 짤막한 한 구절은.. 수많은 상상력을 불러일으켰고..
이번에 본 영화 또한.. 그 짤막한 한마디가 그 대전제가 되는 셈이다..

리미트리스..

이 영화가 처음에 시작되는 것은 왠지..."원티드"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원티드와 비슷한 구조로 영화가 편집되어 있다..



초반에 영화에 좀더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었던 것은..
주인공이 책을 쓰려고 구상만하면서 시간만 허송하는 모습이.. 꼭 나와 같은 듯해서였다..

암튼 영화는 중간중간에 좀 어처구니 없기도 하면서.. 이해가 안되는 상황들이 나와서 조금 짜증이 나긴하지만..
꽤나 많은 볼거리를 선사한다.

결국 이 영화의 전개는 '마약'에 근본을 두고 있다..
영화를 보는 내내.. 마약의 힘이라는 것에 놀라워하면서도.. 내심 두려움과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영화가 끝나는 부분에서 느끼게 된 것은..
이러한 엄청난 약이 개발된다면.. 인류는 개개인이 엄청나게 진화하게 되는 셈이 된다..

솔직히 진화! 라고 하면 다음같은 것을 떠올린다..


팔다리가 길거나 눈이 크고 머리가 큰.. 외계인 같은 이상한 모습으로의 변화 말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진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시간과 유전자의 선택에 의한 진화가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낸 약품에 의한 인간의 능력, 질적인 측면에서의 진화 말이다..

이 영화는 '원티드' 처럼 동기부여도 주면서.. 보고 나면 후련한 감이 있는 재미있는 작품이다.

다시 볼 만한 영화다.



Posted by 돈오돈오
,
영화에 보면.. 피도 눈물도 없는 악당..
그리고, 여자나 어린 아이까지 서슴치 않고 죽이는 잔인함을 보이는 악당들이 있다.


현실에서는 그런 악마같은 인간이 없을까?
아니다..
그런 사람들은  실제로도 우리 주변에 있다.

그것은 악마라서 그런게 아니라.. 인격장애의 한가지로 본다. 
반사회적 인격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 또는 반사회적 인격장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 APD)는 타인을 속이고, 범죄 행위를 하는 데에 죄책감을 느끼지 않으며, 착취적이며 지나친 야망과 우월한 태도를 보여 타인에 공감하지 못하며 감정 기복이 심한 정신 장애다. 환경에 대해 비난을 많이 하고, 15세 이상이 되어서 증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사이코패스 병의 일부이기도 하다.  -위키백과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 is defin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s Axis II (personality disorders)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SM-IV-TR) as "...a pervasive pattern of disregard for, and violation of, the rights of others that begins in childhood or early adolescence and continues into adulthood."[1]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s sometimes wrongly referred to as psychopathy or sociopathy. Currently, neither psychopathy nor sociopathy are valid diagnoses described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2] and the ICD-10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lso lacks psychopathy as a diagnostic disorder.[3] Psychopathy is normally seen as a subset of the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but Blair believes that the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pathy may be separate conditions altogether.



실제로.. 그들은 악마와 비슷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그런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그러면 피하면 된다..(반사회적 인격 장애자들은 반성이나 죄책감이 없으므로 배우질 못함, 가르칠려고 들면 안됨)
하지만, 군대같은 폐쇄 사회에 있다면?

"내가 싫다. 문제아다. 나를 바꾸려고 하는 사람이 한두 명이 아니다"

"학교에서 선생님에게 반항했던 사회성격이 군대에서 똑같이 나오는 것 같다.
선임들이 말하면 나쁜 표정 짓고 욕하는 내가 싫다"

4일 해병대 2사단의 강화군 해안 소초에서 K-2 소총을 난사한 김모 상병(19)은 부대에서 일반 관심사병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ASD의 진단기준을 보더라도..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 IV-TR = 301.7, a widely used manual for diagnosing mental disorders, defines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Axis II Cluster B) as:[1]

A) There is a pervasive pattern of disregard for and violation of the rights of others occurring since age 15 years, as indicated by three or more of the following:
  1. failure to conform to social norms with respect to lawful behaviors as indicated by repeatedly performing acts that are grounds for arrest;
  2. deception, as indicated by repeatedly lying, use of aliases, or conning others for personal profit or pleasure;
  3. impulsiveness or failure to plan ahead;
  4. irritability and aggressiveness, as indicated by repeated physical fights or assaults;
  5. reckless disregard for safety of self or others;
  6. consistent irresponsibility, as indicated by repeated failure to sustain consistent work behavior or honor financial obligations;
  7. lack of remorse, as indicated by being indifferent to or rationalizing having hurt, mistreated, or stolen from another;
B) The individual is at least age 18 years.
C) There is evidence of conduct disorder with onset before age 15 years.
D) The occurrence of antisocial behavior is not exclusively during the course of schizophrenia or a manic episod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CD-10 defines a conceptually similar disorder to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alled (F60.2)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8]

It is characterized by at least 3 of the following:
  1. Callous unconcern for the feelings of others and lack of the capacity for empathy.
  2. Gross and persistent attitude of irresponsibility and disregard for social norms, rules, and obligations.
  3. Incapacity to maintain enduring relationships.
  4. Very low tolerance to frustration and a low threshold for discharge of aggression, including violence.
  5. Incapacity to experience guilt and to profit from experience, particularly punishment.
  6. Markedly prone to blame others or to offer plausible rationalizations for the behavior bringing the subject into conflict.
  7. Persistent irritability.
The criteria specifically rule out conduct disorders.[9]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 criteria differ from those for antisocial and sociopathic personality disorders.[10]

It is a requirement of ICD-10 that a diagnosis of any specific personality disorder also satisfies a set of general personality disorder criteria.


충분하게 확인할 수 없지만..
보도되는 자료만 가지고도 그가 반사회적인격장애의 범주에 들수 있을거라고 추정해 볼 수 있겠다.

..

결국 해병대 2사단의 강화군 해안 소초는 언제라도  비극이 일어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었던 셈이다.
말하자면 비극으로 끝나는 공포영화 한편이 만들어진 셈이다.

출생율이 줄면서.. 군대 규모를 유지하기 힘들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군대에 가지 못하도록, 잘 배제해주었으면 좋겠다.
그래야.. 나중에 내 자식이 생겨서 군대보낼때.. 그나마 마음을 좀 놓을 수 있지 않을까?

가장 무서운 것은.. 분명, 사람이다.
Posted by 돈오돈오
,

하우스 오브 데드 를 생각했다면
그래서.. 그와 비슷한 아류라고 생각했다면 잘못이다.

왜나면..하이스쿨 오브 더 데드는..

더 재미있다.


인류는 정말 멸망할 것인가?
초반과 중반에 걸쳐 나오는.. 인간의 추악한 면모들(친구를 버린다는등...)의 설정들은..
이 만화의 작가의 염세주의를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하이스쿨 오브 더 데드.(이하 하오데)는..
학원물,
하렘물,
롤플레잉
좀비물  을 교묘하게 잘 조화해낸 작품이다.

여러 여주인공들이 있지만..



검도부 주장이었던.. 부스지마 사에코씨가  나는 제일 좋다..


뭐.. 이런 비주얼도 좋지만..


외강내유의 여검사라는 설정이 정말 맘에 쏙든다..

솔직히 사에코 씨 한명으로도 이 작품은.. 최고다..
그녀가 끝까지 살아남았으면 좋겠다.

 

 

Posted by 돈오돈오
,

대학교때의 친구가 있다.
..
비슷하면서도 많이 다른 길을 걸어온 ...

지난 주말에 그의 모친상이 있어 다녀왔다.

..

주말의 늦은 저녁..
비는 부슬부슬 내리는데..
생각보단 한적한 빈소에서
아주 오랜만에 이야길 나눌 수 있었다.
어머니는 병마로 고생하시다가 돌아가셨다고 했다.
친구의 얼굴도 수척하니.. 힘이 없어보였다.
그로부터 젊은 나이에 세상을 등진 어머니에 대한 안타까움을 들었다..

..
오래 있을 순 없어서 나오면서 느낀것은..
결국 인생은 별다를 게 없다는 것..
그리고 부모님은 그리 오래 살지 못하신다는 사실..

..

하지만. .아는 것과 현 과의 괴리를 좁힌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아직.. 갈길이 멀도다..
Posted by 돈오돈오
,

.. 그냥 액션의 3류 영화인줄 알았다..


전개가 대충 어떻게 흘러갈줄 예측이 되면서도..
그래도 긴장을 하게 만드는 것은..
이 영화가 그만큼. .복선이나 스토리를 잘 짜서 만들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자신의 아이는.. 낙태를 당해서 사라졌고..
형에 대한 복수만이 남은 그는..
복수를 하면서..
조금씩 변화한다..


클라이 막스는.. 마지막 바로 직전의.. 목표물..
하지만. .그는 회개하여 감옥에서 구도자로 다시 태어났다..
5명의 아이들을 입양해서 돌보고있다..

...

자.. 주인공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되었을까?


주인공의 엄청난 갈등을 아주 제대로 잘 잡아내었다..

.

끝에 반전이라고 할 것까진 없지만... 그냥 진부하게 끝이 나지만..
결코 진부하게 느껴지진 않았다.

다시 한번더 볼만한 좋은 영화다.
Posted by 돈오돈오
,

 

http://www.umkumdo.com/dmboard/list.php?board=free&mode=view&idx=74&search=&searchstring=&page=1


4번 단계에서 접힌 부분이 중복되는 쪽에서 남은 여분의 끝부분을 미리 접어 두면
집어넣을때 편하다..
편하지만.. 대신..이마 전체적인 압박감은 줄어든다.

출처 : 검도사랑  |  글쓴이 : 侍魂 원글보기
http://tvpot.daum.net/clip/ClipViewByVid.do?vid=iyp49DEgogQ$
Posted by 돈오돈오
,
뇌파를 이용하여 집중력, 정신 상태를 바이오 피드백할 수 있는게임기다..






멋진 아이디어다..
가격이 18만원대라서.. 조금 여유가 있어야 살 수 있겠다.. -ㅅ-
Posted by 돈오돈오
,


그녀와


그녀의 차이이면서..

그림자가 만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결혼 같은게 없다면..
Posted by 돈오돈오
,

결국 경험이 중요한 것은..





 위 사진과 아래 그림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는 점..
Posted by 돈오돈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