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만약 DC 6V 300mA일 경우 무 부하시 회로 시험기로 체크 해 보면 9V 정도 나오게 되며 300mA의 부하가 걸리면 6V 로 떨어지는 아답터입니다.
2).정전압 아답터은 REGULATED IC을 사용하여 입력 전압(V)이 변동이 있어도 출력 전압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 시켜 주는 아답터로 계측기,음향기기,등 정밀 기기에 적합합니다.
3).SMPS 은 Switching Mode Supply 의 약자이며 전원 공급하는 방식을 Switching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효율이 높으며 부피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고 디지털카메라, LCD모니터, PDA, 노트북, DVD 등 정밀 기기에 적합합니다.
ahood님
- (2015-03-27 21:51)
어댑터 검색하다가 300mA던가 음향기기 쪽 제품에서 본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 차이도 있나 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CLiOS
- 스타클로님
- (2015-03-28 05:47)
성능의 차이는 일단 전체적으로 SMPS방식이 일정한 전압 공급이 가능하고 고용량도 가능하지만 리니어 방식은 전압변동차가 크고 용량에 비례해 무게랑 크기가 상당해 집니다.
리니어 방식은 단순히 직류변환만 하는 타입과 정전압 방식이 있습니다.그리고 효율은 SMPS방식이 높습니다.
ahood님
- (2015-03-28 09:37)
- soom님
- (2015-03-28 11:07)
ahood님
- (2015-03-28 11:18)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kin&wr_id=3392417
http://dvdprime.donga.com/g5/bbs/board.php?bo_table=archive_comm_2010&wr_id=4205708
정전압 아답터의 장점은 전원의 품질이 아주 높다이고.
단점은 전기 효율이 높지 않다 입니다.
smps 아답터는 전기 품질이 정전압 아답터보다 아주 약간 떨어진다이고
장점은 전기 효율이 정전압 아답터 보다 좋다는 겁니다.
티볼리 수준의 라디오라면 smps 아탑터를 쓰시는 것이 전기 효율이 높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봅니다.
smps 아답터 때문에 잡음이 끼지만 않는다면 smps 아답터를 추천해 드립니다.

SMPS어답터는 고주파의 스위칭노이즈때문에
개량되어 나오기 전에는 음향기기에는 사용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일단 어댑터를 구매하기 전이라 SMPS로 테스트해보기는 그렇고
SMPS가 아닌 정전압아답터와 일반전원으로 연결했을때
어떤 차이가 나는지가 궁금해서요.

회로를 어떻게 설계했냐에 따라서 다르죠.
파워 앰프의 경운 상보 대칭형으로 설계를 하는데
전원부가 전정압 방식이 아니라고 해도 충분한 수준의 S/N 비를 확보합니다.
즉 해보기 전에는 알수 없다는 거죠.

1.2V 1A 정전압어댑터를 구입해서 티볼리 라디오를 들어보고 있는데,
잡음이 확실히 줄어들고 음질이 맑아진 것을 체감할 수 있는 정도네요.
구매대행으로 110V의 미국산 티볼리을 구입한 경우는 어댑터만 사용해야 하겠고,
정식수입판의 경우도 (SMPS방식이 아닌)정전압어댑터를 사용하시면
차이를 느낄 수 있겠습니다. http://dvdprime.donga.com/g5/bbs/board.php?bo_table=archive_comm_2010&wr_id=4205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