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돈오돈오
,

내과 EGDS 기록 양식

2015. 2. 6. 17:1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진단서 작성요령

2015. 2. 6. 11:4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자보 상해

2015. 2. 6. 11:26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약력 진료내역

2015. 2. 6. 08:0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연세의원 처방

2015. 2. 5. 17:56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Posted by 돈오돈오
,

http://210.103.175.181:8086/SE06.do

 

 

 

 

 

 

 

 

 

===========================================================

 

 

 

 

 

 

 

 

***건위 [健胃]  한의학대사전 건강백과 > 질병/의학 ① 치료법의 하나. 위(胃)의 소화 기능을 높이는 방법이다.

***

최토제 [ emetics, 催吐藥 ] 위 내용물에 유해한 것이 있을때 구토시키는 약물. 위접막의 직접국소자극을 시킴으로써 반사적으로 구토중추를 흥분시켜 구토를 일으키는 것(에메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토근(吐根). 황산동, 토주석(吐酒石) 등), 절상신경절(節狀神經節)을 자극시킴으로 토하게 하는 것(메라트룸알칼로이드), 중추의 CTZ를 직접 자극하는 것(아포므르핀, 맥각(麥角) 알칼로이드 에메틴, 디지탈리스 등), 기타 중추자극에 의한 것(필로카르핀) 등이 있다. 실제, 민간에서 최토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소금 등 위점막에 직접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거담제(祛痰劑)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최토제는 위세척으로 대치되어 별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

제토제[ antiemetics, 制吐劑 ] 중추성과 말초성의 두 개가 있다. 중추성제토약은 중추신경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바비튜산유도체, 브롬화합물 등의 최면약, 스코포라민 등의 항콜린작용약, 지멘히드리나트 등의 항히스타민제, 클로르프로마진 등의 정온제 등이 있다. 말초성제토제에는 물에 녹기 어려운 아미노안식향산에틸 등의 국소마취제에 의한 위점막마취(胃粘膜痲醉)로 반사성구토억제, 아트로핀 등의 콜린작용약에 의한 위의 운동억제 등이 있다.
********

***이담제 [cholagogues, 利胆剂]  간호학대사전 기술/공학 > 질병/의학 담즙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간세포로부터의 담즙분비를 촉진하는 담즙분비촉진제와, 간장에서 분비되며 담낭, 담관중에 저류하고 있는 담즙의 배출을 촉지하는 담줍배출제이다.

***
정장제 [intestinal drugs, 整腸濟]  간호학대사전 용어해설 > 건강/의학 장기능을 조절하는 약물로 설사, 변비 등에 사용된다. 장내살균제, 유산균제제, 소화제, 하제, 지사제 등이 단체(單體) 또는 합제(合劑)의 형태로 제제(製劑)된 것이다.

***
완장제  (浣腸劑) [완ː장제]  [명사] 같은 말 : 관장제(항문에서 직장으로 집어넣는, 액체로 된 약).  

 

 

 

 

 

 

 

 

Posted by 돈오돈오
,

위염치료

카테고리 없음 2015. 2. 5. 14:17

http://health.joseilbo.com/html/doctor_book/?f=doctor_view&seq=18&pages=2&tab=tab1

 

위·십이지장염증
정의
위·십이지장 염증은 점막에 충혈과 미란(긁은 것처럼 붉게 달아오름)이 생긴 것으로 점막 아래 근육이 드러날 정도로 파인 궤양보다는 증상이 가벼운 경우다.
원인

급성위염의 원인
급성위염은 주로 폭음과 폭식, 교통사고와 같은 심한 스트레스, 감기약·소염진통제의 과다복용 등으로 발생한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의해서도 일부 급성 위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저산증(低酸症)을 보이기도 한다. 위에는 강산이 존재하므로 감염이 용이하지 않으나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에 의해 화농성 감염이 생겨 위염이 유발될 수도 있다.

만성위염의 원인
만성위염은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한국인에 가장 흔한 것이 위의 오른쪽 아래쪽 절반(전정부 또는 진정부)의 위점막이 오그라드는 ‘위축성’ 위염이다. 불규칙한 식사와 자극적인 음식을 즐기는 게 중요한 원인이다. 최근에는 헬리코박터균이 위벽을 무너뜨려 위산에 의해 공격당하도록 만들거나, 담즙이 위로 역류할 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새롭게 연구되고 있다. 흔히 ‘신경성 위장병’으로 치부되는 만성위염은 ‘기능성 위장장애’나 ‘경미한 원인 불명의 소화불량증’일 가능성이 크며, 이런 환자는 특정 음식물이나 약물에 의한 자극에 좀 더 민감한 것으로 보인다.

증상

▷ 대부분의 급성위염은 대체로 증상이 경미하다.
▷ 소화불량, 식욕부진, 만복감,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등이 주된 증상이나 증상이 모호한 경우도 흔하다.
▷ 일반적으로는 기름지거나 짜거나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소화불량이 심해진다.
▷ 과식한 직후에는 상복부에 포만감이 생겨 압박감 또는 복통을 느낀다.

진단
역학통계
수술치료
예방법 및 비수술치료(재활,물리,운동치료)
식사요법

급성위염의 식사요법
급성위염의 경우 증상이 가벼울 때는 한 끼니 정도 굶고 죽이나 미음 같은 부드러운 유동식을 먹는다. 잘 관리하면 식사요법으로 해결된다.

만성위염의 식사요법
만성위염은 위산의 분비량에 따라 저(低)산증, 무(無)산증, 과(過)산증 등 3가지 타입으로 세분된다. 과산증일 경우에는 위액분비를 촉진하는 식품을 제한한다. 저산증이면 위에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의 향신료를 음식에 첨가하고 식전에 알코올음료, 스프, 과일 등을 적당히 섭취한다. 무산증은 인공 위액(희석한 염산)을 섭취하는 등 의사의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저산증 혹은 무산증 환자는 위산분비가 저조해 장내 효모와 젖산균 등의 미생물이 위속에서 음식물을 발효시키므로 유기산과 탄산가스가 많이 생긴다. 곡식과 야채를 주식으로 하는 동양인은 위 운동량이 떨어지고 저산증 또는 무산증에 위무력증이 겹쳐진 형태의 위장질환이 많다. 서양인은 육류와 우유를 위주로 섭취하기 때문에 위장 운동량 및 위산 분비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과산증이 많다. 정확한 의사의 감별과 이에 맞는 식사요법이 필요하다.

생활요법 및 민간요법
흔히 묻는 질문과 대답(FAQ)
잘못 알려진 건강상식

[ 관련 의약품 ]

Posted by 돈오돈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