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447건
- 2016.03.31 [더빙]아주르와 아스마르 (Azur And Asmar.2006.BD720p-CiNEFiLE)
- 2016.03.31 [펌] 재미로 보는 사회생활 명언
- 2016.03.21 딸에게 들려주는 작은 철학
- 2016.03.20 마메 게임롬
- 2016.03.20 간헐적 운동
- 2016.03.15 하드디스크 하드스캔
- 2016.03.13 검도 이론
- 2016.03.13 나의 애창곡 목록- 2010년 8월 21일 토요일, 오전 1:00:22
- 2016.03.13 워킹 스루 더 정글 이미지
- 2016.03.13 파판3 무기일람 -블러드렌스 고대유적의 상점
재미로 보는 사회생활 명언!
'웃픈’사회생활 견디는 명언 43가지
01 나까지 나설 필요는 없다
02 헌신하면 헌신짝 된다
03 참고, 참고 또 참으면 참나무가 된다
04 포기하면 편하다
05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06 아니면 말고
07 나도 나지만 너도 너다
08 목숨을 버리면 무기만은 살려주겠다
09 가는 말이 고우면 사람을 얕본다
10 잘생긴 놈은 얼굴값하고 못생긴 놈은 꼴값한다
11 공부는 실수를 낳지만 찍기는 기적을 낳는다
12 까도 내가 까
13 난 오아시스를 원했고, 넌 신기루만으로 좋았던 거지
14 동정할 거면 돈으로 줘요
15 "내 너 그럴 줄 알았다" "그럴 줄 알았으면 미리 말을 해주세요"
16 즐길 수 없으면 피하라
17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18 대문으로 가난이 찾아오면 사랑은 창문으로 도망간다
19 내 부모에게 욕하는 건 참아도 나에게 욕하는 건 참을 수 없다
20 일찍 일어나는 새가 더 피곤하다
21 일찍 일어난 벌레는 잡아 먹힌다
22 먼저 가는 건 순서가 없다
23 똥차 가고 벤츠 온다
24 효도는 셀프
25 먹는 것이 공부라면 세상에서 공부가 가장 좋습니다
26 어려운 길은 길이 아니다
27 개천에서 용 난 놈 만나면 개천으로 끌려들어간다
28 이런 인생으론 자서전도 쓸 수 없다
29 새벽에 맥주와 먹는 치킨은 0칼로리
30 늦었다고 생각 할 때가 가장 늦은 거다
31 성형수술하고 나아진 게 아니라 하기 전이 최악이었다
32 내일 할 수 있는 일을 오늘 할 필요는 없다
33 되면 한다
34 남자는 애 아니면 개다
35 성공은 1%의 재능과 99%의 돈과 빽만 있으면 된다
36 지금 쟤 걱정할 때가 아니다. 내가 더 걱정이다
37 예술은 비싸고 인생은 더럽다
38 고생 끝에 골병 난다
39 하나를 보고 열을 알면 무당눈깔이다
40 원수는 회사에서 만난다
41 돌다리도 두들겨보면 내 손만 아프다
42 재주가 많으면 먹고 살만 한 길이 많다
43 티끌 모아봐야 티끌
http://jun1517.tistory.com/category/MAME%20%EB%A9%80%ED%8B%B0%EC%95%84%EC%BC%80%EC%9D%B4%EB%93%9C/%EC%8A%88%ED%8C%85
간헐적 운동은 고강도의 운동을 집중적으로 실시했다 짧게 쉬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간헐적 운동의 대표적인 예가 ‘다바타 운동법(Tabata Training)’이다. 1996년 일본의 다바타 이즈미 박사가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했다. 20초간 고강도 운동을 한 후 10초간 휴식하는 것을 8번 반복하는 다바타 운동은 단 4분이면 끝난다. ‘4분만 운동해도 1시간 동안 운동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알려져 바쁜 현대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루에 4분만 투자하면 금방 ‘몸짱’이 될 수 있을까. 본보 기자가 5일간 다바타 운동법을 체험해봤다.
“오늘의 운동은 ‘앉았다 일어서기’입니다. 4분 동안, 아니 중간에 쉬는 시간을 빼면 정확히 2분 40초 동안만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면 끝! 참 쉽죠?”
말처럼 쉬울 줄 알았다. 4분이면 요즘 대중가요 러닝타임이다. 노래 한 곡 부를 시간이면 운동이 끝난다니 싱거워 보였다. 게다가 그냥 앉았다 일어서기의 반복이라니…. 4분간 쉬지 않고 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었다. 20초 동안 최대한 빨리, 많이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고 10초간 쉬면 1라운드가 끝난다. 그렇게 8라운드를 마치면 5단계로 구성된 ‘다바타 운동법’의 첫 단계인 ‘다바타 스쿼트’가 완성된다(표 참조). 지난달 말 ‘다바타 스쿼트’를 시작으로 하루에 한 단계씩 회사 근처 체육관에서 트레이너의 지도 아래 5일간 이 운동을 했다.
‘다바타 스쿼트’를 실시한 첫날. ‘삐익!’ 스톱워치가 작동하기 시작했다. 처음 20초 동안 기자는 폭발적으로 몸을 움직였다. 1라운드에만 정확한 자세로 21번 앉았다 일어섰다.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온몸에 힘이 잔뜩 들어갔다. 100m를 전력 질주한 기분이었다. 숨을 고르자마자 다시 ‘삐익!’, 전력을 쏟기 시작했다.
몸은 딱 절반인 4라운드까지만 내 마음대로 움직였다. 점점 숨이 가빠 오며 다리가 후들거렸다. 몸은 천근만근. 엉거주춤 주저앉은 자세가 스스로 보기에도 흉해 눈을 감았다. 할 수 있는 거라곤 20초가 지나가길 기다리는 것뿐. 20분 같은 20초가 흐르자 쏜살같이 10초가 지나갔다. 마지막 라운드는 겨우 10개를 넘기고 풀썩 주저앉았다.
“하악 하악!” ‘겨우’ 4분이 지났을 뿐인데 온몸이 땀범벅이었다. 허벅지 경련 때문에 다리도 접지 못하고 10분 넘게 누워 있어야 했다. 결코 쉬운 운동이 아니었다. 머릿속은 ‘4분 동안 이렇게 운동하느니 차라리 1시간 동안 트레드밀(러닝머신) 위를 달리는 게 낫겠다’는 생각으로 가득 찼다. 이때 생긴 근육통은 3일간 계속 됐다.
다바타 운동을 시작한 이틀째에 실시한 ‘다바타 푸시업’, 사흘째 되던 날 하게 된 ‘다바타 배틀로프’도 마찬가지. 매번 숨쉬기도 벅찰 정도로 힘들었고 다리는 물론이고 팔과 가슴, 손목이 아팠다. 나흘째 되던 날의 ‘다바타 셔틀런’을 마친 뒤에는 금방이라도 토할 것 같았다.
공짜는 없다!
![](http://dimg.donga.com/wps/NEWS/IMAGE/2013/08/02/56815450.1.jpg)
![](http://image.donga.com/donga2013/images/sub/info_view.gif)
하지만 이런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4분 동안 자신을 한계점까지 몰아붙여야 한다. 다바타 운동법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 최대산소섭취량(VO2 max)의 170%’를 요구하는 초고강도 인터벌 운동법(강도 높은 운동 사이에 짧은 휴식을 끼워 넣는 운동법)이라는 점이다.
1930년대 장거리 육상 선수들을 위해 고안된 고전적 인터벌 운동법은 빠르게 달리기(고강도)와 천천히 달리기(저강도)를 반복해 전신 지구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보통 인터벌 운동에서 고강도라 함은 개인 최대산소섭취량의 70∼80%를 사용하는 정도를 말한다. 운동 강도만을 봤을 때 다바타 운동법은 보통 인터벌 운동보다 두 배 이상 강력한 프로그램이다. 황성환 리복크로스핏센티넬 시니어 코치(31)는 다바타 운동법에 대해 “짧다고 해서 결코 쉬운 운동이 아니다”며 “사점(Dead Point)에 도달하는 고통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꾸준히 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 확대보기 ![]() | ![]() 미친 듯이 20초 - 전 세계 돌풍! 간헐적 운동의 정석 ![]() | |
![]() | ||
![]()
|
< 검도 이론 >
1. 검도의 四戒에 대하여 설명하라.
검도의 4병(四病)이라고도 하며, 검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4가지 경계하여야 할 것을 말한다.
경, 구, 의, 혹 (驚,懼,疑,惑) 즉, 놀라거나, 두려워하거나, 의심하거나, 미혹되지 말아야 함을 말한다.
검도의 승부는 기술뿐만 아니라 마음의 움직임에 지배되는 수가 많으므로 항상 사계를 마음에 두고 스스로 정신수양에 힘써 나가야 할 것이다. 항상 평상심을 가지고 마음이 동요됨이 없이 이 네가지를 초월해야만 상대를 이길 수 있다.
2. 검도의 本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記述)하라.
검도의 본은 검도의 정수(精髓)와 기술 중에서 기초가 되는 것들, 즉, 예법, 자세, 격자법, 거리, 기회, 존심 등이 집약되어 있다.
검도의 본은 1) 예법과 칼을 다루는 법을 확실히 익히기 위하여
2) 격법(格法)과 격자법의 기초 원리와 자세를 익히기 위하여,
3) 거리와 기회를 알고, 존심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3. 연격의 유의점과 효과에 대하여 기술하라.
연격이란 검도의 기본동작과 기술을 조합하여 연속으로 행하는 종합적인 연습방법으로서, 검도를 배우는 사람에 있어서는 반드시 익혀야 하는 중요한 연습법으로서 준비, 정리운동으로도 행해진다.
연격연습을 올바르게 하기 위해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초보의 단계에서는 속도보다 동작을 크게, 정확히 하는데 중점을 둔다.
2) 어깨에 힘을 빼고, 유연하게 머리치기를 한다.
3) 좌우면 머리치기의 입사각(入斜角)이 30도 정도 대칭이 되도록 한다
4) 죽도를 들어 올렸을 때 항상 왼손 주먹이 머리 위까지 오르도록 하고 내려쳤을 때 왼손 주먹이 명치 정도 높이가 되도록 한다.
5) 머리치기에서 왼손 주먹은 항상 정중선(正中線) 상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6) 정면 머리치기는 일족일도의 거리에서 정확히 치도록 한다.
연격을 수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동작이나 진퇴의 움직임이 유연하고 민첩하여 진다.
2) 체력이 증강되고 기력이 왕성하여 진다.
3) 호흡이 길어지고, 지구력이 좋아진다.
4) 죽도를 잡는 손의 운용이 좋아져서, 격자가 확실해 진다.
5) 상대와의 거리 감각이 생긴다.
4. 유효격자에 대하여 기술하라.
유효격자란 한판을 인정할 수 있는 격자로서,
검도경기·심판규칙 제12조에 따르면,
「유효격자는, 충실한 기세와 적정(適正)한 자세로써, 죽도의 격자부로 격자부위를 칼날을 바르게 하여 격자하고 존심이 있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
이때 기검체가 일치하여야 하며, 또한 이에 추가하여 단순한 맞추기식 검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타격의 강도와 타격시 탄력과 반동이 있어야 한다.
5. [거리]에 대하여 설명하라.
[거리]라 함은 상대와 대치했을 때 상호간의 간격(시간적 간격,공간적 간격,심리적 간격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상대와 나와의 공간적 거리는 양쪽 모두에게 일정하지만, 기에 눌린다든가, 방심하는 순간 거리의 균형은 깨어지게 된다. 검도는 거리의 싸움에서 시작되고 거리에서 끝이 난다고도 할 수 있다.
검도에서 상대와의 거리를 파악(把握)하는 것은 승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상대와의 거리를 적절히 취하는 것을 토대로 하여 유효한 격자가 가능하게 되어 한판을 얻을 수 있다. 상대와의 정확한 거리감각을 체득하게 되면 공격과 방어의 기회를 알게 되며, 순간적으로 위기를 벋어날 수 있고 또한 반전(反轉)하여 상대에게 이길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거리는 3가지로 분류한다.
(1) 일족일도(一足一刀)의 거리.
1보 들어가면 상대를 격자할 수 있고, 1보 물러가면 상대의 격자를 벗어날 수 있는 거리로서 공격과 방어의 전환점이기도 하다.
(2) 먼 거리
1보 전진하여도 격자하기 어려운 거리로서, 수비하기는 용이하나, 공격하기는 어려운 거리이다.
(3) 가까운 거리.
반보 정도 들어가도 격자가 가능한 거리로서, 공격은 용이하나, 수비는 어려운 거리이다.
6. 존심(存心)에 대하여 써라.
존심이라는 말은 성리학상의 용어로서, 항상 마음에 새겨 본심(本心)을 잃지 않는 것 또는 늘 그렇게 한다는 한결 같은 마음이라 할 수 있다.
존심의 반대말은 방심(放心)이다. 방심이란 마음을 풀어 놓아 텅빈 상태로 대처함이 없는 것이다.
존심은 방심하지 않는 마음을 말한다.
검도에서는 격자자체가 성공했다 하여도 존심이 보이지 않으면 유효격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즉, 확실히 격자하였다고 할지라도 방심하여서는 안된다. 이겼다고 방심하는 순간 상대가 반격하여 내가 도리어 치명타를 입을 수도 있다 .
그리고 검도에서 공격 후에 존심이 특히 강조되고 있지만 공격하기 전에도, 공격 중에도 존심이 필요하다.
7. 삼살법(三殺法)에 대하여 써라.
상대의 기선을 제압하여 효과적으로 상대를 이길 수 있는 세가지 방법으로서 상대의 칼을 죽이고, 技術을 죽이고, 氣를 죽이는 것을 삼살법이라고 한다.
칼을 죽인다는 것은 상대의 칼을 누르거나 제치거나 감는 등으로 상대 죽도의 자유동작 즉 상대의 검선을 죽이는 것을 말하며, 기술을 죽인다는 것은 선을 잡고 틈없이 공격을 계속하여 상대가 기술을 걸 여유를 주지 않는 것을 말하고, 기(氣)를 죽인다는 것은 끊임없이 전신에 기를 넘치게 하여 당당한 기백으로 상대의 기(氣)를 압도함을 말한다.
8. 수파리(守,破.離)에 대하여 논하라.
검도의 수련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있다.
1) 守란, 선생의 가르침을 잘 지키고, 그 가르침에 조금이라도 벗어남이 없이 수련을 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것이 멋있다고 생각되거나, 다른 선생의 기술에 대하여도 동요함이 없이 단지 자기 선생의 가르침만을 따라 수련하는 것이다.
2) 破란, 자신의 도장에서 일사분란하게 정진하여 오랫동안 수련을 쌓은 후, 선생의 허가를 얻어 타 도장에 가서 다른 기술을 배우고, 다른 선생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지금까지 자기가 배워온 것을 破하되 지금까지 자기가 공부하여 온 것을 전부 버리는 것이 아니며, 자기가 배운 것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자재의 수련을 하는 것이다.
3) 離란, 守 破의 단계에서 자신의 선생이나 다른 선생 혹은 선배로부터 배운 것으로부터 떠나서, 자기의 검도관을 세울 수 있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여기저기서 배운 것을 참고하여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기초로 하되 그것을 고수하지 않고, 그 체험에 기초하여 그 이상의 높은 수준의 독특한 경지를 개척하여 나아가는 것이다.
9. 담력정쾌(膽力精快)란 무엇인가?.
상대와의 대적 시에 가장 중요한 것을 순서대로 열거한 것이다
첫째로 담(膽)이니, 두려움이 없는 당당한 마음을 말한다. 큰 승부일수록 대담해야 한다.
둘째가 력(力)이니 이는 힘을 말한다. 신체적인 힘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수련을 통하여 칼을 쓰는 힘을 말한다.
셋째가 정(精)이니 정수, 정밀을 뜻하며 빈틈없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정교한 기술을 말한다.
넷째가 쾌(快)니 이는 빠름을 말한다.
바르고 씩씩한 마음으로 수련을 통하여 힘을 얻고 정밀한 기술로 상대를 바르게 공격하는 것이 올바른 무예의 길임을 가르치는 말이다.
10. 부동심(不動心)
무슨 일이 일어나도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또한 여러 가지 변동에 대하여도 그때그때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마음을 뜻하기도 한다.
11. 심판원의 자세
1) 경기진행을 공평무사하게 하여야 한다.
2) 정해진 복장으로 단정하여야 하고, 자세는 바르게, 태도는 엄정하게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3) 유효격자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4) 선고를 명확히 한다.
5) 경기 심판규칙의 운영요령을 숙지하고 바르게 운영할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6) 검리에 충실한 심판을 하여야 한다.
7) 심판기술을 숙달하는데 힘쓰고 실제 심판을 하면서 항상 반성과 검토를 통하여 심판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8) 검도수련을 게을리 하여서는 안된다.
9) 검도의 승패는 한순간에 일어나므로 심판도 선수와 같은 기분을 가지고 경기에 집중하여야 한다.
10) 다른 훌륭한 심판에게 보고 배우는 자세를 가진다.
12. 조선세법
조선세법이 처음 소개된 책은 중국 명나라의 모원의가 쓴 무비지이다. 이 책은 척계광의 기효신서와 더불어 중국의 대표적인 병법서이다. 이 무비지 권86에 유일하게 도보가 갖추어진 검법이 실려 있는데 그것이 바로 조선세법이다. 우리나라 조선조 정조때 발간된 무예도보통지에는 조선세법을 그대로 옮겨 실었으면서도 ‘조선세법’이라 하지 않고 ‘예도’라고 하였다.
13. 검도의 역사
검도(劍道)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때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중국의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병기고(兵技攷)에 나오는 '검도삼십팔편(劍道三十八篇)'이라는 기록이 있고 그 보주(補注)에는 ‘왕응린 왈(王應麟曰)…… 손오(孫吳) 서(序)에 전하기를 신ㆍ염ㆍ인ㆍ용(信廉仁勇)이 없이는 병(兵)을 전하고 검(劍)을 논할 수 없다' 라는 기록을 참고해 보면 중국에서는 지금부터 약 2,500년전인 춘추전국시대에 이미 검도가 독특한 정신세계를 이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고대의 책인 <산해경(山海經)>에는 우리 나라를 지칭하는 군자국(君子國)에 관한 기록에서, '군자국 사람들은 의관(衣冠)을 갖추고 칼을 차고 다니며.... 서로 간에 양보하기를 좋아하고 다투지 않는다.' 라고 하여 이때 이미 칼의 문화가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칼의 우리 옛말은 ‘’인데 이는 '갈다'라는 동사가 명사화된 것으로 석기시대에 연원을 둔 매우 오래된 단어이다. 일본에서 검(劍)을 '쯔루기'라고 말하는데 이는 우리말 '찌르기'가 변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 보고나 자료에 따르면 BC 900년경에는 요령지방에 비파형동검(琵琶型銅劍)으로 대표되는 독립된 청동기 문화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후에 세형동검(細型銅劍)으로 발전된 우리들의 조상인 고조선(古朝鮮) 문화권이며, 이러한 내용은 <산해경>의 기록과도 일치되어 사실로 증명되는 것이다. 이로 미루어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훌륭한 칼의 문화를 이룩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 검도경기의 원형은 격검(擊劍)이다.
중국의 <사기(史記)>나 <한서(漢書)>에는 격검이 상대와 일 대 일로 겨루는 무술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군자국의 예로 보아 일찍부터 이 격검이 행하여졌을 것이나 그에 관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세울 수 있는 것이 바로 신라 화랑들이 격검을 수련하였다는 사실이다. <삼국유사>의 김유신조에 보이는 '검술을 연마하여 국선이 되었다.'라는 내용에서 격검을 잘하지 못하면 최고의 화랑인 '국선'이나 '풍월주'에 오를 수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삼국사기>나 <화랑세기>에는 화랑들이 월정(月庭)과 같은 일정한 수련장소에 모여 체계적으로 격검을 수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는 깊은 산악이나 동굴에 들어가 극기훈련과 심령훈련까지 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의 검기(劍器) 역시 치열한 전쟁을 치르면서 삼국 모두가 동양 최고의 수준에 올라 있었다.
이러한 칼의 기능과 기기(技器)가 후대에 일본으로 전파되어 오늘날 검도의 모태가 된 것이니, 이는 누구도 부인 못할 역사적 사실이다. 비록 근대 수백 년간 우리 것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채 무(武)를 경원하고 칼에 관해 소홀히 하면서 자괴(自愧)에 빠져들었으나, 중국의 <무비지(武備志)>에 소개된 유일한 검법인 <조선세법(朝鮮勢法)>과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검법인 <본국검법(本國劍法)>은 세계검도사에 큰 빛이 되고 있는 것이다.
혹자는 검도가 일본 것이라고 생각해서 백안시하거나 기피하려 드나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일본이 검도를 스포츠로 개발한 것은 그들의 자랑이요. 그 뿌리가 우리에게 있음은 우리의 긍지이다.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24반 무예 중에 <왜검(倭劍)>을 특히 상세하게 수록한 우리 선조들의 참뜻을 잊어서는 안된다.
서양의 기사도를 대표하는 무술로서 현대 스포츠로도 각광을 받고 있는 '펜싱'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 시작은 이탈리아였고, 스페인 · 영국 · 프랑스 · 독일 등에서 수백 년간 계속 발전시켜 오늘에 이르렀는데, 비록 경기용어는 모두 프랑스어로 되어 있고 경기명칭도 나라에 따라 ESCRIME, SCHERMA, FENCING 등으로 각각 다르게 호칭되고 있으나 경기방식은 똑같다. 그리고 그들 국가들은 모두가 자부심을 가지고 국제적인 규칙에 따라 나름대로의 기술개발을 하면서 함께 이 경기를 즐기며 키우고 있다. 돌이켜보면 현대의 검도경기가 시작된 것은 불과 100여년, 처음에는 명칭도 격검이었다. 대한제국은 일본이 개발한 경기방식을 바로 받아들여 군과 경찰에서 교과목으로 채택하고 군사훈련에 적용시켰으며 당시의 사립학교에서도 청소년들에게 보급, 권장하였다. 우리의 선각자들은 어렵던 시절 일제치하에서도 그 맥을 이어 오늘에 이르게 한 것이다.
대 한 검 도 회
나의 애창곡 목록- 2010년 8월 21일 토요일, 오전 1:00:22
2016. 3. 13. 23:05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양파검사의 렙업용 세팅에 블러드계 무기 착용으로 블러드 랜스 구매시 ... 고대 유적 상점 들르라
*. 사용직업 범례.
스:스핑 전:전사 몽:몽크 백:백마도사 흑:흑마도사
적:적마도사 사:사냥꾼 나:나이트 도:도적 학:학자
풍:풍수사 용:용기사 마:마검사 바:바이킹 환:환술사
음:음유시인 공:공수가 마계:마계환사 현:현자 닌:닌자
양:양파검사 도사:도사 마인:마인
*. 사용직업 범례.
스:스핑 전:전사 몽:몽크 백:백마도사 흑:흑마도사
적:적마도사 사:사냥꾼 나:나이트 도:도적 학:학자
풍:풍수사 용:용기사 마:마검사 바:바이킹 환:환술사
음:음유시인 공:공수가 마계:마계환사 현:현자 닌:닌자
양:양파검사 도사 :도사 마인:마인
1) 단검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나이프 (ナイフ) | 8 | 참・돌 | - | - | 스・전・적・도・마・음・닌 | 85 | 0 | ||
대거 (ダガー) | 9 | 참・돌 | - | - | 상점:울 보물:울 | 스・전・적・도・마・음・닌 | 85 | 0 | 60 |
미스릴나이프 (ミスリルナイフ) | 14 | 참・돌 | - | - | 상점:카즈스, 카난 | 스・전・적・도・마・음・닌 | 85 | 0 | 500 |
스파이크대거 (スパークダガー) | 23 | 참・돌 | 뇌 | 민첩+2 | 보물:바이킹의아지트, 오엔의탑 | 스・전・도・마・음・닌 | 100 | 0 | |
마인콘슈 (マインゴーシュ) | 35 | 참・돌 | - | 민첩+3 | 상점:아무르 보물:사로니아성 | 스・전・적・도・마・음・닌 | 100 | 0 | 7,000 |
포이즌대거 (ポイズンダガー) | 40 | 참・돌 | - | 독추가(50%)、민첩+4 | 보물:하수도 | 스・전・적・도・마・음・닌 | 100 | 0 | |
베히모스나이프 (ベヒーモスナイフ) | 78 | 참・돌 | - | 힘+8 | 보물:시간의신전 | 도・닌 | 100 | 0 | |
에어나이프 (エアーナイフ) | 89 | 참・돌 | 풍 | 아이템사용 에어로、민첩+6 | 보물:해저동굴 | 도・닌 | 100 | 0 | |
다크나이프 (ダークナイフ) | 93 | 참・돌 | - | 민첩+5 | 상점:인비지블 | 도・닌 | 100 | 0 | 30,000 |
라스트대거 (ラストダガー) | 110 | 참・돌 | - | 민첩+8 | 보물:도가의동굴 | 도・닌 | 100 | 0 | |
그라디우스 (グラディウス) | 130 | 참・돌 | - | 민첩+20 | 도적숙련 99 | 도 | 100 | 0 |
2) 검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반짝이는검 (きんきらの剣) | 5 | 참 | - | - | 보물:골돌의저택 | 스・전・적・나・마 | 20 | 1 | |
롱소드 (ロングソード) | 10 | 참 | - | - | 상점:울 보물:제단의동굴, 울 | 스・전・적・나・마 | 80 | 0 | 100 |
와이트슬레이어 (ワイトスレイヤー) | 15 | 참 | 회복 | - | 보물:사슨성 | 스・적 | 80 | 0 | |
미스릴소드 (ミスリルソード) | 17 | 참 | - | - | 상점:카즈스, 카난 보물:카즈스광산 | 스・전・적・나・마 | 85 | 0 | 500 |
티르빙 (ティルヴィング) | 28 | 참 | - | - | 상점:드워프의동굴 | 스・전・적・나・마 | 75 | 1 | 2,000 |
사라만다소드 (サラマンドソード) | 30 | 참 | 불 | 아이템사용 파이어 | 보물:오엔의탑 | 스・전・적・나・마 | 100 | 1 | |
프리즈블레이드 (フリーズブレイド) | 32 | 참 | 얼음 | 아이템사용 프리자드 | 보물:불의동굴 | 스・전・적・나・마 | 80 | 1 | |
서펜트소드 (サーペントソード) | 25 | 참 | 뇌 | - | 상점:고대인의마을 보물:네프트신전, 톳클, 고대인의마을 | 스・전・적・나・마 | 80 | 0 | 1,500 |
킹소드 (キングスソード) | 50 | 타・참 | - | - | 보물:하인의성 | 스・전・적・나・마 | 80 | 1 | |
블러드소드 (ブラッドソード) | 55 | 참 | 흡수 | 타격시 데미지의 1/6 흡수 | 보물:난파선 | 전・나・마 | 80 | 1 | |
(언데드에겐 역효과) | |||||||||
고대의검 (古代の剣) | 80 | 참 | 회복 | 마비추가(30%) | 보물:해저동굴 | 전・나・마 | 80 | 1 | |
디펜더 (ディフェンダー) | 95 | 참 | - | 아이템사용 프로테스、체력+5 | 상점:고대유적 보물:시간의신전 | 전・적・나・마 | 100 | 1 | 28,000 |
브레이크블레이드 (ブレイクブレイド) | 125 | 참 | - | 서서히 석화 | 보물:고대인의미궁 | 전・적・나・마 | 80 | 1 | |
엑스칼리버 (エクスカリバー) | 137 | 참 | - | 힘・민첩・체력・지능・정신+5 | 보물:에우레카 | 스・적・나 | 90 | 1 | |
라그나록 (ラグナロク) | 140 | 참 | 암흑 | 힘・민첩・체력・지능・정신+5 | 보물:에우레카 | 전・나・마 | 100 | 1 | |
오니온소드 (オニオンソード) | 156 | 참 | - | 힘・민첩・체력・지능・정신+5, | 드랍:3색용 | - | 100 | 1 | |
양파검사전용 | |||||||||
세이브더퀸 (セイブザクィーン) | 140 | 참 | - | 아이템사용 리플레크, 체력・정신+10, 나이트전용 | 나이트숙련 99 | 나 | 90 | 1 | |
오니온블레이드 (オニオンブレード) | 150 | 타・참・돌 | - | 침묵・암흑・독・혼란 추가(50%), | 양파검사숙련 99 | - | 100 | 1 | |
힘・민첩・체력・지능・정신+7 | |||||||||
양파검사전용 | |||||||||
알테마웨폰 (アルテマウェポン) | 155 | 타・참・돌 | - | 힘・민첩・체력・지능・정신+15 | 모그넷이벤트 | 스・전・적・나・마 | 100 | 0 |
3) 암흑검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아수라 (阿修羅) | 100 | 참 | 암흑 | - | 상점:팔가바드 보물:팔가바드의동굴 | 마・닌 | 100 | 1 | 16,000 |
코테츠 (虎徹) | 105 | 참 | 암흑 | - | 보물:팔가바다의동굴, 암흑의동굴, 바하무트의동굴 | 마・닌 | 90 | 1 | |
국일문자 (菊一文字) | 115 | 참 | 암흑 | - | 보물:팔가바다의동굴, 암흑의동굴 | 마・닌 | 90 | 1 | |
마사무네 (マサムネ) | 132 | 참 | 암흑 | 민첩+10 | 보물:에우레카 | 마・닌 | 70 | 1 | |
아마노무라쿠모 (天の叢雲) | 140 | 참 | 암흑 | 민첩+20 | 마검사숙련 99 | 마 | 100 | 1 | |
무라마사 (ムラマサ) | 140 | 참 | 암흑 | 침묵・암흑・독추가(20%), | 닌자숙련 99 | 닌 | 90 | 1 | |
민첩+10, 힘・체력・지능・정신+5 | |||||||||
4) 지팡이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지팡이 (杖) | 3 | 타 | - | - | 상점:울 보물:카즈스 | 스・백・흑・적・환・마인・마계・현 | 50 | 0 | 40 |
불의지팡이 (炎の杖) | 20 | 타 | - | 아이템사용 파이어,지능・정신+2 | 상점:고대인의마을, 드워프동굴 보물:토자스, 굴간족의계곡 | 백・흑・적・환・마인・마계・현 | 50 | 0 | 3,500 |
얼음의지팡이 (氷の杖) | 20 | 타 | - | 아이템사용프리자드,지능・정신+2 | 상점:고대인의마을, 드워프동굴 보물:톳클, 굴간족의계곡 | 백・흑・적・환・마인・마계・현 | 50 | 0 | 3,500 |
빛의지팡이 (光の杖) | 20 | 타 | - | 아이템사용썬더, 지능・정신+2 | 상점:고대인의마을 | 백・흑・적・환・마인・마계・현 | 50 | 0 | 3,500 |
골렘의지팡이 (ゴーレムの杖) | 30 | 타 | - | 서서히석화(100%), 아이템사용 브레이크, 정신+3 | 상점:사로니아북동 보물:사로니아성, 사로니아지하미궁, 바하무트동굴 | 백・적・환・마계・현 | 70 | 0 | 13,500 |
룬의지팡이 (ルーンの杖) | 33 | 타 | - | 아이템사용 이레이즈, 정신+4 | 상점:사로니아북동 | 백・적・환・마계・현 | 80 | 0 | 18,000 |
장노의지팡이 (長老の杖) | 85 | 타 | - | 아이템사용 케알라, 정신+6 | 보물:에우레카 | 백・도사・현 | 90 | 0 | |
홀리완드 (ホーリーワンド) | 110 | 타 | - | 아이템사용 케알가, 정신+20 | 도사숙련 99 | 도사 | 95 | 0 | |
현자의지팡이 (賢者の杖) | 110 | 타 | - | 힘・민첩・체력・지능・정신+10 | 현자숙련 99 | 현 | 95 | 0 |
5) 완드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미스릴로드 (ミスリルロッド) | 12 | 타 | - | 지능+1 | 상점:카즈스, 카난 | 스・흑・적・환・마인・마계・현 | 60 | 0 | 400 |
위자드로드 (ウィザードロッド) | 20 | 타 | - | 지능+5 | 상점:사로니아북동 | 흑・적・환・마인・마계・현 | 100 | 0 | 20,000 |
화염의완드 (炎の棒) | 25 | 타 | 불 | 아이템사용 파이라, 지능・정신+3 | 상점:사로니아북동 | 백・흑・적・환・마인・마계・현 | 70 | 0 | 10,000 |
얼음의완드 (氷の棒) | 25 | 타 | 얼음 | 아이템사용 블리자라, 지능・정신+3 | 상점:사로니아북동 보물:사로니아성 | 백・흑・적・환・마인・마계・현 | 70 | 0 | 10,000 |
빛의완드 (光の棒) | 25 | 타 | 뇌 | 아이템사용 썬더라, 지능・정신+3 | 상점:사로니아북동 | 백・흑・적・환・마인・마계・현 | 60 | 0 | 10,000 |
모든것의완드 (全ての棒) | 93 | 타 | - | 서서히석화(100%), 지능+10 | 보물:에우레카 | 흑・환・마인・마계・현 | 80 | 0 | |
릴리스의로드 (リリスロッド) | 110 | 타 | - | 아이템사용 데스, 지능+20 | 흑마도사숙련 99 | 흑 | 90 | 0 | |
밀레니엄로드 (ミレニアムロッド) | 110 | 타 | - | 아이템사용 블리자가, 지능・정신+10 | 마인숙련 99 | 마인 | 100 | 0 |
6) 활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활 (弓) | 10 | 돌 | - | - | 상점:울 보물:사슨성 | 스・전・흑・적・사 | 70 | 0 | 100 |
그레이트보우 (グレートボウ) | 18 | 돌 | - | - | 상점:카난 보물:카난, 톳클 | 스・전・흑・적・사 | 65 | 0 | 1,200 |
킬러보우 (キラーボウ) | 26 | 돌 | - | - | 상점:고대인의마을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스・전・흑・적・사 | 65 | 1 | 4,000 |
룬의활 (ルーンの弓) | 42 | 돌 | - | 지능・정신+2 | 보물:하인성 | 사 | 80 | 1 | |
세레네보우 (セレーネボウ) | 63 | 돌 | - | - | 상점:아무르 보물:사로니아성 | 사 | 75 | 1 | 16,000 |
요이치의활 (与一の弓) | 70 | 돌 | - | 민첩+5 | 상점:팔가바드 | 사 | 75 | 1 | 42,000 |
에우류토스활 (エウリュトスボウ) | 95 | 돌 | - | 힘+5 | 보물:바하무트동굴 | 사 | 75 | 1 | |
엘핀보우 (エルフィンボウ) | 109 | 돌 | - | 민첩+5 | 보물:크리탈타워 | 사 | 75 | 1 | |
아르테미스의활 (アルテミスの弓) | 122 | 돌 | - | 힘・민첩+10 | 사냥꾼숙련 99 | 사 | 75 | 1 |
7) 화살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나무화살 (木の矢) | 6 | 돌 | - | - | 상점:울 보물:사슨성 드랍:파라라이마,데몬 훔치기:파라라이마,데몬(숙련제한없음) | 스・전・흑・적・사 | 80 | 0 | 4 |
성스러운화살 (聖なる矢) | 8 | 돌 | 회복 | - | 상점:드워프동굴, 아무르 보물:사슨성, 하인성 드랍:파라라이마,데몬 훔치기:파라라이마,데몬(숙련31이상) | 스・전・흑・적・사 | 75 | 0 | 10 |
철화살 (鉄の矢) | 12 | 돌 | - | - | 상점:카난, 드워프동굴, 아무르 보물:카난 드랍:파라라이마,데몬 훔치기:파라라이마,데몬(숙련71이상) | 스・전・흑・적・사 | 75 | 0 | 8 |
불화살 (炎の矢) | 17 | 돌 | 불 | - | 상점:고대인의마을 보물:아가스성 드랍:파라라이마,데몬 | 사 | 75 | 0 | 150 |
얼음화살 (氷の矢) | 17 | 돌 | 얼음 | - | 상점:고대인의마을 보물:아가스성 드랍:파라라이마,데몬 | 사 | 75 | 0 | 150 |
빛화살 (光の矢) | 17 | 돌 | 뇌 | - | 상점:고대인의마을 보물:아가스성 드랍:파라라이마,데몬 | 사 | 75 | 0 | 150 |
잠의화살 (眠りの矢) | 20 | 돌 | - | 수면(20%) | 상점:인빈시블 | 사 | 75 | 0 | 200 |
독화살 (毒の矢) | 20 | 돌 | - | 독(20%) | 상점:인빈시블 | 사 | 75 | 0 | 200 |
메듀사의화살 (メデューサの矢) | 23 | 돌 | - | 서서히석화(15%) | 상점:고대유적, 인빈시블 보물:아가스성, 사로니아성 드랍:파라라이마,데몬 | 사 | 75 | 0 | 300 |
마력의화살 (魔力の矢) | 27 | 돌 | - | 지능・정신+2 | 상점:인빈시블 | 사 | 75 | 0 | 250 |
요이치의화살 (与一の矢) | 40 | 돌 | - | - | 상점:팔가바드 드랍:파라라이마,데몬 | 사 | 80 | 0 | 500 |
8) 책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불의책 (炎の本) | 32 | 타 | 불 | 지능・정신+2 |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학 | 70 | 0 | |
얼음의책 (氷の本) | 32 | 타 | 얼음 | 지능・정신+2 |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학 | 70 | 0 | |
빛의책 (光の本) | 32 | 타 | 뇌 | 지능・정신+2 |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학 | 70 | 0 | |
불의사전 (炎の辞典) | 53 | 타 | 불 | 지능・정신+3 | 보물:사로니아성 | 학 | 70 | 0 | |
얼음의사전 (氷の辞典) | 53 | 타 | 얼음 | 지능・정신+3 | 보물:사로니아성 | 학 | 80 | 0 | |
빛의사전 (光の辞典) | 53 | 타 | 뇌 | 지능・정신+3 | 보물:사로니아성 | 학 | 80 | 0 | |
지식의책 (知識の本) | 78 | 타 | - | 지능・정신+5 | 보물:해저동굴 | 학 | 100 | 0 | |
모든것의책 (全ての本) | 130 | 타 | - | 지능・정신+10 | 학자숙련 99 | 학 | 100 | 0 |
8) 책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불의책 (炎の本) | 32 | 타 | 불 | 지능・정신+2 |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학 | 70 | 0 | |
얼음의책 (氷の本) | 32 | 타 | 얼음 | 지능・정신+2 |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학 | 70 | 0 | |
빛의책 (光の本) | 32 | 타 | 뇌 | 지능・정신+2 | 보물:아가스성, 드워프동굴 | 학 | 70 | 0 | |
불의사전 (炎の辞典) | 53 | 타 | 불 | 지능・정신+3 | 보물:사로니아성 | 학 | 70 | 0 | |
얼음의사전 (氷の辞典) | 53 | 타 | 얼음 | 지능・정신+3 | 보물:사로니아성 | 학 | 80 | 0 | |
빛의사전 (光の辞典) | 53 | 타 | 뇌 | 지능・정신+3 | 보물:사로니아성 | 학 | 80 | 0 | |
지식의책 (知識の本) | 78 | 타 | - | 지능・정신+5 | 보물:해저동굴 | 학 | 100 | 0 | |
모든것의책 (全ての本) | 130 | 타 | - | 지능・정신+10 | 학자숙련 99 | 학 | 100 | 0 |
9) 너클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브론즈너클 (ブロンズナックル) | 12 | 낙・타 | - | - | 보물:제단의동굴, 사슨성 | 스・몽・공 | 100 | 0 | |
소닉너클 (ソニックナックル) | 28 | 낙・타 | - | - | 보물:톳클, 오엔의탑 | 몽・공 | 100 | 0 | |
임팩트크로 (インパクトクロー) | 34 | 낙・타・돌 | - | - | 보물:불의동굴 | 몽・공 | 100 | 0 | |
고양이발톱 (ネコの爪) | 42 | 낙・타 | - | 민첩+3 | 보물:하수도 | 몽・공 | 100 | 0 | |
카이저너클 (カイザーナックル) | 50 | 낙・타 | - | - | 보물:하수도 | 몽・공 | 100 | 0 | |
비룡의발톱 (飛竜の爪) | 51 | 낙・타 | 풍 | 민첩+4 | 보물:골돌의저택 | 몽・공 | 100 | 0 | |
호랑이발톱 (虎の爪) | 82 | 낙・타 | - | 힘+5 | 보물:해저동굴 | 몽・공 | 100 | 0 | |
요정의손톱 (妖精の爪) | 89 | 낙・타 | - | 개구리(50%)、지능・정신+2 | 보물:고대유적 | 몽・공 | 100 | 0 | |
메탈너클 (メタルナックル) | 100 | 낙・타・돌 | - | - | 보물:해저동굴 | 몽・공 | 100 | 0 | |
다크크로 (ダーククロー) | 115 | 낙・타・돌 | - | - | 보물:암흑의동굴 | 몽・공 | 100 | 0 | |
지옥의손톱 (地獄の爪) | 121 | 낙・타 | - | 독추가(50%)、체력+5 | 보물:고대인의미궁 | 몽・공 | 100 | 0 |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브론즈너클 (ブロンズナックル) | 12 | 낙・타 | - | - | 보물:제단의동굴, 사슨성 | 스・몽・공 | 100 | 0 | |
소닉너클 (ソニックナックル) | 28 | 낙・타 | - | - | 보물:톳클, 오엔의탑 | 몽・공 | 100 | 0 | |
임팩트크로 (インパクトクロー) | 34 | 낙・타・돌 | - | - | 보물:불의동굴 | 몽・공 | 100 | 0 | |
고양이발톱 (ネコの爪) | 42 | 낙・타 | - | 민첩+3 | 보물:하수도 | 몽・공 | 100 | 0 | |
카이저너클 (カイザーナックル) | 50 | 낙・타 | - | - | 보물:하수도 | 몽・공 | 100 | 0 | |
비룡의발톱 (飛竜の爪) | 51 | 낙・타 | 풍 | 민첩+4 | 보물:골돌의저택 | 몽・공 | 100 | 0 | |
호랑이발톱 (虎の爪) | 82 | 낙・타 | - | 힘+5 | 보물:해저동굴 | 몽・공 | 100 | 0 | |
요정의손톱 (妖精の爪) | 89 | 낙・타 | - | 개구리(50%)、지능・정신+2 | 보물:고대유적 | 몽・공 | 100 | 0 | |
메탈너클 (メタルナックル) | 100 | 낙・타・돌 | - | - | 보물:해저동굴 | 몽・공 | 100 | 0 | |
다크크로 (ダーククロー) | 115 | 낙・타・돌 | - | - | 보물:암흑의동굴 | 몽・공 | 100 | 0 | |
지옥의손톱 (地獄の爪) | 121 | 낙・타 | - | 독추가(50%)、체력+5 | 보물:고대인의미궁 | 몽・공 | 100 | 0 |
10) 해머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해머 (ハンマー) | 55 | 타 | 뇌 | 체력+1 | 보물:하수도 | 바 | 70 | 3 | |
드래곤해머 (ドラゴンハンマー) | 70 | 타 | 뇌 | 체력+4 | 보물:사로니아성 | 바 | 70 | 3 | |
트리톤해머 (トリトンハンマー) | 110 | 타 | 뇌 | 체력+5 | 보물:해저동굴 | 바 | 75 | 3 | |
플래티넘해머 (プラチナハンマー) | 115 | 타 | 뇌 | 체력+2 | 보물:도르호수 | 바 | 70 | 3 | |
축복받은해머 (ブレスドハンマー) | 120 | 타 | 뇌 | 체력+3 | 보물:팔가바드, 팔가바드동굴 | 바 | 70 | 3 | |
마이티해머 (マイティハンマー) | 145 | 타 | 뇌 | 체력+20 | 바이킹숙련 99 | 바 | 80 | 3 |
11) 도끼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바이킹액스 (バイキングアクス) | 33 | 참 | - | - | 보물:바이킹의아지트 | 전・바 | 70 | 3 | |
배틀액스 (バトルアクス) | 65 | 타・참 | - | - | 상점:아무르 | 전・바 | 70 | 3 | 7,400 |
더블토마호크 (ダブルトマホーク) | 73 | 타・참 | - | - | 보물:해저동굴 | 전・바 | 70 | 3 | |
룬액스 (ルーンアクス) | 110 | 타・참 | - | 지능・정신+2 | 상점:인빈시블 | 전・바 | 75 | 3 | 35,000 |
데몬액스 (デモンズアクス) | 116 | 타・참 | - | 힘・체력+2 | 상점:팔가바드 | 전・바 | 70 | 3 | 40,000 |
더블하켄 (ダブルハーケン) | 122 | 타・참 | - | 힘+3 | 보물:고대인의미궁 | 전・바 | 70 | 3 | |
거인의도끼 (巨人の斧) | 155 | 타・참 | 地 | 힘+20 | 전사숙련 99 | 전 | 75 | 3 |
12) 창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썬더스피어 (サンダースピア) | 45 | 돌 | 뇌・풍 | 아이템사용썬더 | 상점:아무르, 사로니아북동 보물:드래곤의탑 | 용 | 90 | 1 | |
윈드스피어 (ウインドスピア) | 53 | 돌 | 풍 | 아이템사용에어로 | 상점:사로니아북동 보물:사로니아남서 | 용 | 90 | 1 | |
헤비렌스 (ヘヴィランス) | 84 | 돌 | 풍 | - | 보물:사로니아지하미궁 | 용 | 90 | 1 | |
블러드랜스 (ブラッドランス) | 95 | 돌 | 풍・흡수 | 타격시 데미지의 1/6 흡수 (언데드에겐 역효과) | 상점:고대유적 보물:시간의신전 | 용 | 90 | 2 | |
트라이던트 (トライデント) | 108 | 돌 | 풍 | - | 보물:해저동굴 | 용 | 90 | 1 | |
드래곤랜스 (ドラゴンランス) | 117 | 돌 | 풍 | - | 상점:인빈시블 | 용 | 90 | 1 | |
홀리랜스 (ホーリーランス) | 125 | 돌 | 성・풍・회복 | 아이템사용 홀리 | 보물:고대인의미궁 | 용 | 90 | 3 | |
궁그닐 (グングニル) | 140 | 타・참・돌 | 풍 | 힘・민첩+10 | 드랍:오딘 훔치기:오딘(숙련71이상) | 용 | 90 | 3 | |
마신의창 (魔神の槍) | 145 | 돌 | 풍・암흑 | 힘+20 | 용기사숙련 99 | 용 | 90 | 3 |
13) 투척무기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부메랑 (ブーメラン) | 40 | 타 | - | - | 상점:아무르 보물:사로니아성 | 사・도・닌 | 85 | 0 | 9,000 |
차크람 (チャクラム) | 50 | 참 | - | - | 보물:해저동굴 | 사・도・닌 | 85 | 0 | |
라이징선 (ライジングサン) | 70 | 참 | - | - | 보물:도가의동굴 | 도・닌 | 85 | 0 | |
엔월륜 (円月輪) | 110 | 참 | 암흑 | - | 보물:에우레카 | 도・닌 | 85 | 0 | |
수리검 (手裏剣) | 200 | 타・참・돌 | 암흑 | 던지기전용 | 상점:에우레카 보물:기잘, 에우레카, 크리스탈타워 | - | 100 | 0 | 65,500 |
14) 벨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기야맨의벨 (ギヤマンのベル) | 42 | 타 | - | - | ㄹ | 풍 | 100 | 0 | 4,500 |
대지의벨 (大地のベル) | 88 | 타 | - | 마비(50%) | 보물:사로니아성 | 풍 | 100 | 0 | |
룬의벨 (ルーンのベル) | 98 | 타 | - | - | 보물:사로니아지하미궁, 고대유적 | 풍 | 100 | 0 | |
축복의벨 (祝福のベル) | 130 | 타 | 성・회복 | 민첩・지능・정신+10 | 풍수사숙련 99 | 풍 | 100 | 0 |
15) 하프
이름 | 공격력 | 무기속성 | 마법속성 | 착용효과 | 입수방법 | 직업 | 명중 | 중량 | 가격 |
마드라의하프 (マドラの竪琴) | 60 | 타 | - | 정신+5 | 상점:아무르, 다스타 | 음 | 100 | 0 | 10,000 |
로키의하프 (ロキの竪琴) | 60 | 타 | - | 정신+5 | 상점:다스타 보물:해저동굴 | 음 | 100 | 0 | 10,000 |
라미아의하프 (ラミアの竪琴) | 60 | 타 | - | 혼란(50%),정신+5 | 상점:다스타 보물:시간의신전 | 음 | 100 | 0 | 12,000 |
꿈의하프 (夢の竪琴) | 60 | 타 | - | 수면(50%), 정신+5 | 상점:다스타 | 음 | 100 | 0 | 12,000 |
아플론의하프 (アポロンのハープ) | 60 | 타 | - | 침묵(50%), 정신+10 | 상점:에우레카 | 음 | 100 | 0 | 6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