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방법
서약
3. 진전섬망이나타나기까지의금주기간
대상환자 2 8명중 2 6명에서 진전섬망이 나타나기까지의
금주기간은 4일을 넘지 않았다. 금주기간이 1일 이내가 1 4
명으로 가장많았고, 2일이 6명, 3일이 5명이었다(표 3 ) .
4. 진전섬망의지속기간
진전섬망의 지속기간은 2 2명이 3일 이내로대부분을 차지
했으며, 이중 1 0명이 2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지속기간은
2 . 5일이었다 (표 4 ) .
5. 섬망이외의금단증상
알코올 금단 후 섬망이 나타난 환자에서 흥분된 행동이
92.9%, 자율 운동 항진이 89.3%, 망상과 진전이 각각
71.4%, 환각 42.9%, 발열 1 4 . 3 %의 순으로 섬망이외의 금
단증상이 나
진전섬망의 기본양상인 섬망은 과음을중단하거나 혹은 감량한지 1주일이내에 발생하고, 대체로 2 - 3일 사이에증상이발현된다4 , 5 ). 본 연구에서는 금주기간이 하루이내가 5 0 %로 가장 많았으며, 4일이내가 9 2 . 8 %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진전섬망의 지속기간은 7 8 . 5 %에서 3일이내였으며, 모든 예에서 치료시작 1주일내에 증상이 회복되었다.
알코올 금단 후 섬망이 나타난 환자에서 흥분된 행동, 자율 운동 항진, 망상과 진전, 환각, 간질, 발열의 순으로 섬망이외의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증상은 감염, 경막하 혈종, 외상, 간 손상과대사성질환을가진 사람에서 자주 나타나며 가장 위험하다. 이들은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장애,인위적 장애, 치매, 저혈당증, 가족성 진전, 당뇨병, 기타 대사 장애,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금단증 등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임상 병리 검사에서 진전섬망 환자들은 대부분의 알코올중독 환자들이나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들에서와 같이빌리루빈 수치의 증가 및 프로트롬빈 시간의 연장 등이 관찰되며
6 , 7 )
, 본 연구에서도 빌리루빈 수치의 상승이 5 0 %에서관찰되고, 프로트롬빈 시간의 연장이 14.3%, 아밀라제수치의 상승이 17.9%, 전해질 불균형이 2 5 %에서 관찰되었으며, 치료도중 비타민의 공급, 전해질의 불균형교정 등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알코올과 연관된 간질발작은 금주후 6시간에서 4 8시간사이에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8 ). 이러한 경련에대한 치료에는 diazepam (5~10 mg IV), lorazepam(2~4 mg IV)등을 시도하며, 이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p h e n y t o i n이나 p h e n o b a r b i t a l등이 고려된다9 , 1 0 )
. 본 연구에서는 간질발작이 동반된 9예에서 d i a z e p a m이나 l o r a z e p a m만으로도 간질발작이 잘 조절되었다.
1차세계대전 전에는 진전섬망 환자의 4 0 %에서 사망하였으나, 현재는 사망률이 5% 이내로 감소하였다1 1 )
. 치료의 시작에서가장 중요한 점은 다른 정신적 혹은 기질적인 병변과의 감별진단을 빨리 시행해 충분한 양의 비타민, 전해질 및 수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전섬망 환자의치료를 위한 수액으로 alcohol cocktail을 이용하였다1 2 ). alcohol cocktail은 5% D/S 1000cc 혹은 N/S 1000cc에 m ultivitamin, thiamine, folate, magnesium등을 혼합한 수액으로 환자의 병력상 진전섬망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서 초기 수액치료로 시행되었다. 이상행동 및 섬망을 조절하기 위한 진정제로는 l o r a z e p a m이나 d i a z e p a m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조절이 되지않는 경우에는 h a l o p e r i d o l을 추가 사용하였다1 3 , 1 4 ). 본 연구기간 중 진전섬망으로 인해 사망한 예는 없었으며, 이는 초기에 적절한 양의 비타민 및 충분한양의 수액공급이 치료에 효과적이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향후 진전섬망 환자에서 치료수액으로서 alcohol cockt a i l의 효용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학문 >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cal incontinence , constipation (0) | 2012.01.06 |
---|---|
Perianal abscess - ppt (0) | 2012.01.06 |
대장의 증식성 용종증의 정의- WHO (0) | 2012.01.06 |
직장항문압 측정 (0) | 2012.01.03 |
[기고] 산부인과 병동의 미혼 여성들 -조선일보 (0) | 201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