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amu.wiki/w/%ED%94%BC%EC%B9%B4%EB%A0%88%EC%8A%A4%ED%81%AC

피카레스크

1. Picaresque
1.1. 개요1.2. 상세1.3. 피카레스크에 해당되는 작품들
2. ピカレスク

1. Picaresque[편집]

1.1. 개요[편집]

문학 장르의 하나이며, 후대에는 소설의 한 양식을 말하는 말로도 파생되었다. 쉽게 말하면 주인공을 포함한 등장인물 모두가 악인인 작품. 이런 작품에서 주인공 역은 그나마 독자와 공감할만할 면모나 최소한의 양심을 보여주거나 악역들이 그야말로 상상 이상의 천하의 개쌍놈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악한소설(惡漢小說) 또는건달소설(乾達小說)이라고도 부르며, 그 이유는 어원이 스페인어로 악당을 의미하는 picaro이기 때문.[1]

15~16세기경 스페인에서 시작된 장르로, 악당/무법자/불순분자/아웃사이더 등 암만 좋게 봐 줘도 선한 구석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앉혀놓는 장르이다. 에피소드의 나열로 전개되는 방식인지라 이 장르에선 뚜렷한 구성은 없다. 주인공이 단순히 악동이거나 날라리 양아치면 정신적으로 성장하고 끝나지만, 정말 막가는 놈이면...

1.2. 상세[편집]

장르의 절대적인 규칙으로 주인공의 악행에 토를 달거나 도덕적 쉴드를 쳐 주지 않는다는 게 있다. 예시를 들자면 존 Q[2]는 피카레스크가 아니지만, 시계태엽 오렌지(특히 영화판)[3]는 훌륭한 피카레스크라 할 수 있겠다.

이야기의 서술방식이나 초점은 오로지 주인공에게 맞춰져 있다. 때문에 독자들은 악당인 주인공에게 쉽게 공감을 느끼거나 동정 및 연민을 느끼게 된다. 설령 그 주인공이 명백한 악행을 하더라도. 주인공의 시선에서 나오는 '자기 합리화'를 독자들이 쉽게 믿어버리기 때문.

바로크 시기 혼란하고 쇠락해가던 스페인에서 시작된 만큼 사회풍자성을 지니고 있다. 전반적으로 악당이라는 주인공은 기실 하층민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인 비판과 어느정도 맞닿아 있다. 이런 풍자, 비판성과 맞닿아 독자와의 공감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악당 주인공의 미화나 승리로 끝나기 보단 그들의 악행에 대한 후회나 속죄, 심판 같은 배드엔딩의 도식을 가지고 있다. 

이 피카레스크 소설의 특징에서 유래된 된 소설의 한 유형으로, '피카레스크 구성'이 있다. 옴니버스 형식의 일종이라 말할 수 있는 걸로, 거의 옴니버스와 비슷하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중심 인물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며 작중 주제도 일치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현대의 문학 계열에서 피카레스크라고 하면, 장르보다는 구성 방식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현대소설 중, 피카레스크 소설이라 칭해지는 건 대체로 피카레스크 구성을 가진 소설들을 말한다.

피카레스크가 소위 악당 주인공의 소설이라 하여 악행 미화나 악당의 승리로 내지 악한이 지 맘대로 설치는 장르로 착각하는 경우가 꽤 많다. 하지만 피카레스크 장르는 '악인'이라는 주인공의 시각으로 풍자에 목적이 있는 것이지 악행 미화나 악당 만만세가 주제인 장르가 아니다.

1.3. 피카레스크에 해당되는 작품들[편집]

2. ピカレスク[편집]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에서 쓰인 보컬곡. 

부른사람은 사카이 미키오(酒井ミキオ). 17화에서 쿠루루기 스자쿠가 사성검과 싸울때 나온 곡이다.

감독이 코드 기아스는 피카레스크물이라고 하기도 했는데 이 곡의 제목도 노린 것으로 보인다.
[1] 브리태니커 한국어판에서는 악한소설로 소개하고 있다.[2] 아들을 구하기 위해 인질극을 벌임.[3] 주인공이 쾌락을 위해 악행을 벌이고, 그것이 생생한 주인공의 목소리로 설명.[4] 은행강도와 경찰의 총격전을 다룬 영화인데 하는 짓은 경찰이 더 나쁜짓이다. 게이바에 무턱대고 총질하지 않나 용의자의 가족을 인질로 잡지 않나...[5] 세 주연 중 둘은 선한 사람들이지만, 그중 가장 비중이 많은 인물인 호이찬은 악인이다. 작가가 후속작 고기인간에서 피카레스크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했다.[6] 아닌게 아니라 지금은 사라진 3cf의 한 후계커뮤니티에서(copy3cf인지 neo3cf인지는 기억안남)의 누군가는 최지룡 신작만화 연재소식을 들고오며 '이시대 최후의 피카레스크 작가 최지룡'이라고 반쯤 비아냥거리는 표현을 썼다.


Posted by 돈오돈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