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광고 수익 계산 방법
* CPM (Cost Per Milenium)
광고노출 횟수 당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 입니다.
이 방식은 블로그의 접속인원이 많은 블로거에게 유리합니다.
대표주자:
1. 짱라이브
2. 애드젯
보통 해당 글의 상단 오른쪽에 노출, 25일 이상 블로그에서 노출,
전체렝킹에서 순위 500위 안에 들었을 경우 황동지원금이 지급되는 형태
실제는 1,000위 안이면 지원금 수령 가능
4. 애드센스 - 네이버블로그에서는 사용 못함.
단점: 부정트래픽, 접속유도행위
- 이 접속유도행위로 인하여 지금은 제공하는 업체가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 CPC (Cost Per Click)
광고를 클릭하는 횟수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이며 가장 오래된 방식입니다.
대표주자:
1. 애드포스트 - 네이버블로그에서만 사용 가능
2. 애드센스 - 네이버를 제외한 블로그에서 사용 가능
짱라이브, 링크프라이스,인터리치,아이라이크클릭,올블릿
단점: 부정클릭 -> 하루동안 동일한 IP로 한번의 클릭만 인정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CPA (Cost Per Action)
광고를 클릭하고 물건은 사지 않더라도 회원에 가입한다든지 하는 행동이 있어야 수익이 발생하는 방식 입니다.
대표주자: 링크프라이스, 인터리치, 아이라이크클릭
단점: CPC보다 일반적으로 수익률이 저조합니다.
* CPS (Cost Per Sale)
광고를 클릭하고 실제로 물건을 구입한 경우에만 수익이 발생하며 수익이 발생하는 횟수가 가장 적고 힘든방식 입니다. 장점은 한번 구매가 이루어지면 구매대금의 일정 %가 수익으로 발생하므로 수익이 CPA보다 몇백배 큰 수익을 안겨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주자: 링크프라이스, 인터리치, 아이라이크클릭
* CPP (Cost Per Period)
광고를 일정기간 블로그에 노출하였을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방식 입니다.
블로그보다는 일반 홈페이지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만 파워블로그가 되면 유치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네이버나 다음등의 사이트에 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블로그광고 방식의 종류>
* 팝업광고
블로그에 접속할 때 팝업을 띄워 광고하는 방식 입니다.
팝업의 횟수를 기준으로 수익이 발생합니다.
대표주자: 오마이클릭, 애드스왑
단점: 블로그 접속횟수를 감소시킵니다.
* 위젯광고
대표주자: 짱라이브, 애드젯, 애드찜
* 리뷰광고
제품이나 상품에 대한 리뷰를 포스팅하면 수익이 발생하는 방식입니다.